No.8
안녕하세요, 미래전략실 여러분😊 SP Team입니다.
오늘은 3종 세트로 가져와봤는데요, 바로 에듀테크 시장·정책·세미나 소식입니다. |
|
|
- 에듀테크 시장은 음악 586억달러, 영화 358억달러, 게임 2,497억달러 등 '22년 주요 콘텐츠 시장('23, 한국콘텐츠진흥원)보다 훨씬 큰 규모
- 전체 교육·훈련 시장('22년 6조달러) 중 에듀테크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19년 약 3% → '22년 약 5% 수준으로 증가('20, HolonIQ)
|
|
|
2. 글로벌 유니콘 기업 현황 ('23년 3월 기준) |
|
|
- 글로벌 유니콘 기업 Top 30에 미국 17개사, 인도 7개사 등이 있음
- ByJu's의 경우, 지난 크레버스-MS MOU 당시 MS 이종호 WW Digital Natives Strategic Partnership Lead가 리딩기업 리서치 대상으로 추천 언급한 바 있음
|
|
|
3. 국내 기업/기술
-
기업의 주된 타겟 : K-12(28.3%) > 외국어(22.9%) > 인적자원개발HRD(20%)
-
'20년 기준, 기업 수와 총 매출액은 '서비스' 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나,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콘텐츠' 분야*가 가장 큼
(* 기업당 평균 매출액 : 콘텐츠 95억원 > 서비스 62억원 > 디바이스 56억원 > 네트워크 26억원 > 플랫폼 20억원)
-
국내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최고기술국 미국 대비 99.9% 수준이며, 기술격차도 0.2년에 불과('22, 중기부)
(비대면 교육 플랫폼 기술 수준 : 미국(100%) > 한국(99.9%) > 중국(89.2%) > 일본(78.6%)
-
초거대 AI 언어모델 보유 국가는 5개국(미국, 중국, 한국, 영국, 이스라엘)에 불과하며, 한국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기술과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을뿐 아니라, 기술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국민 정서 보유
|
|
|
1. 해외 에듀테크 정책
- 글로벌 선도국가들은 에듀테크의 산업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의 에듀테크 전략 수립·추진 중
- 미국 : National education technology plan('17) - 5가지 영역(학습, 가르침, 리더십, 평가, 인프라)으로 나누어 정책 및 비전 수립 / '23년 새로운 전략 수립 중
- 영국 : Edtech Framework('19) - 1단계 비전수립, 2단계 문제·해결·정책 추진 동향 설정, 3단계 실행·통합·반복·혁신 추구 & Realis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in education('19) - 교사 업무 경감 및 교육성취도 향상을 목표로 하며, 에듀테크 활용 개선, 민간 에듀테크 기업 지원, 산업육성이 핵심
- 인도 : National Mission on Education through ICT Phase-2('14)
- 싱가포르 : EdTech Plan('20)
- EU : 디지털교육 행동 계획('17) - 교수학습, 디지털 역량 및 기술 개발, 데이터 분석 영역의 정책 방안 모색
- 중국 : 교육정보화 2.0 행동 계획('18) - 스마트 학습공간인 '지혜교육 시범구역' 10개 이상 설립, 모든 고등교육과정에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학습방식 적용 모색
- 일본 : 학교 첨단기술 활용 실증사업 로드맵('20)
|
|
|
- 학교 조달시스템(학교장터)의 상품 분류 카테고리에 '에듀테크' 신설('23년8월 완료)
- AI 학습용 데이터세트 개발('23년 4개 분야 : 문장완성검사, 학습태도, 수학, 말하기)하여 기업·기관 등에 공유('23년~)
- 산업계와 교육계 포괄하는 에듀테크 실태조사 체계 마련('24년)
- 에듀테크 진흥법 제정 및 에듀테크산업진흥원 설립('24년~)
- '교육데이터전략위원회' 신설 및 '교육행정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구축('24년)
- 교육 데이터 유형·속성·용어 표준 개발('24년)
-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습 내용, 범위, 성취 수준을 데이터화할 수 있는 학습 맵 개발 및 기업에 공유('24년)
- 공공부문이 보유한 에듀테크 데이터·콘텐츠 개방 확대('24년~)
- 에듀테크 데이터 기술 서비스 표준 마련
- 에듀테크 상호 운용을 위한 기술 표준 마련
- 에듀테크 서비스 보안, 안전 표준 마련('24년~) : 공교육 보안 체계와 연계하여 보안 기능을 개발·적용할 수 있도록 관련 보안 프레임워크 매뉴얼 제공, 에듀테크 정보 플랫폼에 상품 등록 시 보안 체크리스트 준수 여부를 점검하여 보안 점수 제공
- 에듀테크 기업 투자 유치 지원을 위한 기업 가치평가모형 개발 정책연구 추진('24년)
- 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학습한 데이터 수집/분석 플랫폼 구축('24년), 축적된 데이터는 교육용 AI 고도화를 위해 비식별 처리하여 민간에 개방('24년)
- 표준산업체계 분류 개정 - '이러닝산업 특수분류체계' 정비 검토('25년~)
- 통계조사 개발(현재 '에듀테크' 공식 통계는 없고, 관련 통계로 '이러닝산업 실태조사' 존재)
|
|
|
2. 관계부처 합동 '에듀테크 진흥방안' 발표('23.9월) |
|
|
- 공교육을 지원하는 에듀테크 개발 촉진
- 에듀테크 기업의 교육적·기술적 역량 강화 지원 : 클라우드 활용 촉진, AI 학습용 데이터세트 개발
- 증거 기반의 에듀테크 활용 체계 구축 : 한국형 에듀테크 테스트베드로 '에듀테크 소프트랩' 고도화
- 에듀테크 수출 활성화를 위한 범부처 지원체계 구축
- 현장 목소리 : (교사) "물품 관리 규정이나 감사 때문에 SW보다 눈에 보이는 HW 구매만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학교 재정시스템은 구독형 또는 해외 에듀테크 구매와 맞지 않아요", (기업) "전용 유통·정보 플랫폼이 없어 품질이 아닌 영업력에 따라 매출이 결정돼요", "공교육 진입이 제한되어 해외 진출을 선택했는데, 해외 바이어는 국내 공교육에서의 트랙레코드를 요구합니다"
|
|
|
📣행사개요
- 주제 : '23년 최신 AI 활용 트렌드 및 에듀테크 활성화 종합방안 발표 내용 공유 - 일시 : 2023년 12월 13일(수) 13:30~16:00 - 장소 : 코엑스 인터컨티넨탈호텔 비바체룸 - 주최 : (사)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 - 참석자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김혜영 총괄, (사)에듀테크학회 이호건 회장, (주)오르드 이현욱 대표, (주)글로브포인트 조상용 대표, 러닝스파크(주) 정훈 대표 등 |
|
|
1. 오픈소스 SW와 AI, 기술의 혁신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과기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에서는 기업의 저작권 침해 등의 법률 리스크 예방과 보안 위협 대응력 강화를 위해 오픈소스SW 라이선스/보안취약점 검증 및 컨설팅(모든 서비스 무료)을 제공하고 있으니, 기업들은 활용하시기 바람
-
신청방법 : 공개소프트웨어(OSS; Open Source Software) 홈페이지 메인화면 '라이선스 검증신청', '라이선스 문의'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어떤 오픈소스가 쓰였는지 검증하여 리포트해드림
|
|
|
2. AI 활용 글로벌 에듀테크 사례 및 적용방안 - 주식회사 오르드
-
교육 초점은 'Learning to be human in a digital world'에 맞춰야 한다고 생각함
-
교육에서 AI 접목에 가장 선두적인 Microsoft는 Edge 브라우저와 Copilot을 통해 멀티모달 AI 서비스(보고, 듣고, 말하는)를 상용화
-
AI와 공존하기 위해 미래 교육이 준비해야 할 5가지 스킬 : 인공지능이 어떻게 실제로 작동하는지 이해하기, 인공지능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배우기, 인공지능과 하이브리드 팀으로 일하는 방법 배우기, 인공지능의 큐레이션을 활용하는 법 가르치기, 더 나은 인간 존재가 되는 방법 가르치기
-
AI를 적용하기 위한 첫번째 단계로서, LRS*을 활용한 다양하고 표준화된 학습 데이터 수집이 있음
(* LRS : xAPI 표준을 따르는 다양한 서비스로부터 수집되는 학습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는 역할)
-
미래 팀 구성 관련, 팀원 중 한 명(?)이 AI가 될 전망
|
|
|
3. 교육에서의 메타버스 정의,기능,윤리 - (주)글로브포인트
-
메타버스에 있어 제일 중요한 키워드는 '하드웨어'가 아니라 '플랫폼'이며, 현재 유일하게 Apple사가 이를 제시하였고, Apple이 제일 먼저 손잡은 사업파트너가 Disney(콘텐츠 회사)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의 경우 현재 수학, 과학, 사회 과목에 관한 AR 교육이 진행 중
-
참고기업 : McGrawHill
|
|
|
4. 선순환 에듀테크 생태계를 위한 산학관의 역할 - 에듀테크학회
|
|
|
주식회사 크레버스 (뉴스레터 담당) keahn@creverse.com / 02-6009-5019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731 신영빌딩 15층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