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9
안녕하세요, 미래전략실 여러분😊 SP Team입니다.
가장 최신 글로벌 시장 흐름을 읽을 수 있는 해외 에듀테크 & 빅테크 행사를 갖고 와봤어요. |
|
|
2024년 글로벌 에듀테크 행사 일정 (개최예정 순) |
|
|
1. BETT Show 2023 "Reconnect, Reimagine, Renew" ('23년 3월 개최) |
|
|
📄결과보고서 목차
- Bett Show의 발달과정
- 영국 교육제도와 BETT Show
- Bett Show 2023
- 전시 부문별 특이점과 시사점
- 시사점
- BETT Show 발표자료 |
|
|
- BETT는 해마다 주요 주제를 제시하였으며, 2015년~2017년까지는 'E-Learning'의 개념이, 2018년부터는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전환'이, 코로나19로 인한 전시회 개최가 불가능했던 2021년부터는 '미래 교육'이 화두였음
|
|
|
- BETT는 학교와 영국 및 유럽 에듀테크 기업 사이에 정부가 객관적 증거 기준을 가지고 연결시킴. 영국은 유럽에서 에듀테크 투자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국가로, 유럽 시장으로 진입하는 허브 역할을 담당함
|
|
|
2. ISTE LIVE 2023 "Discover Your Next" ('23년 6월 개최) |
|
|
📄결과보고서 목차
- ISTE(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 국제교육기술협회) 스케치
- ISTE 주요 키워드 소개
- 주목할 만한 제품
- 주요 세션 요약
- 엑스포 참가 기업 소개 |
|
|
- ISTE는 미국 에듀테크 기업과 학교(K-12 교사)를 직접 연결하는 형태
-
한편, ISTE(국제교육기술협회) 표준은 SDG 4*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생/교육자/코치/교육리더를 위한 지식, 기술, 사고방식에 대한 구체성을 제공하는 성과지표와 일련의 표준 제공
(* SDG 4 : UN의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4번째 목표인 'Quality Education'으로써, 포용적이고 공평한 양질의 교육 보장과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 기회 증진'이 핵심 메시지임)
|
|
|
1. 글로벌 빅테크 컨퍼런스 ' AWS re:Invent 2023' 주요 내용 ('23년 11월 28일~12월 1일, Las Vegas)
- (핵심 내용) AI의 핵심은 데이터와 클라우드에 있음
- (CEO 키노트) AWS의 CEO인 Adam Selipsky는 AWS 클라우드 위에서 혁신을 이뤄내고 있는 많은 기업들을 소개하면서, 그 기반에 데이터센터, 가용 영역(AZ) 등 강력한 인프라가 있다고 강조함. 데이터, AI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잘 구축하기 위해서는 결국 인프라(클라우드)가 가장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던짐 (키노트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PMfn9_nTDbM )
- (Data&AI 부문 부사장 연설) AI 비즈니스의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이며, 데이터 단계에서부터 차별화된 경쟁력을 지녀야 함. 완성도 높은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한 기업들은 모두 기업만의 특징이 담긴 고품질 데이터를 제대로 저장하고 구성하는 데이터 역량을 가지고 있었음 (키노트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8clH7cbnIQw )
- (핀테크 고객사 'Intuit' AI 부문 부사장 연설) AI 비즈니스를 시작한다면 다음 2가지를 기억해야 한다고 조언함. ① 전체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라. 기본 데이터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 ② 모든 것에 딱 맞는 하나의 모델은 없다. 정확성, 대기시간, 비용 등을 고려해 여러가지 모델을 옵션을 가져가는 것이 중요
- (생성형AI 전략) ① 책임감 있는 AI(Responsible AI) 원칙: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운영. 기본 설계 단계부터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고려하고 AI가 잘못된 정보, 해로운 콘텐츠를 생성하지 않도록 함 ② 멀티 모달(Multi Modal): 텍스트를 넘어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멀티 모달 모델 솔루션을 여러 기업들이 구축 중이며, AWS는 이미지 생성 서비스에도 텍스트 + 이미지 프롬프트 기능을 제공 지원함 ③ 다양한 선택지 제공 + 최적의 선택 지원: 모든 사례에 딱 맞는 이상적 단일 모델은 없으므로, 고객이 쉽게 여러 가지 모델을 사용해 테스트하고 배포할 수 있는 Amazon Bedrock을 개발하여 최적의 모델 선택을 지원하는 전략
- (생성형 AI 여정을 가속화하기 위해 필요한 것) ① 모델의 선택과 유연성: 다양한 모델을 테스트함으로써 비즈니스 상황에 맞는 최적의 모델 선택이 중요함 ② 데이터 활용과 차별화: 머신러닝을 끝까지 추진할 수 있는 강력한 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중요 ③ 책임 있는 AI 통합: 머신러닝 및 생성형 AI 확장을 위해 필요 ④ 저비용, 고성능 인프라 접근성 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사용
- (기타 언급된 키워드) ① Serverless(서버리스): 서버 관리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소프트웨어 패치 운영 체제를 업그레이드할 필요가 없으며, 기존 호스트를 폐기하고 새 호스트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음 ② Relational Databases(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간소화함 ③ Caspian(카스피안): 하이퍼바이저, 발열 관리, 데이터베이스 엔진의 혁신을 결합한 서버리스 데이터베이스 혁신 상품명(최근 출시) ④ Quantumn Computing(양자 컴퓨팅): 양자 컴퓨터는 큐비트의 중첩과 얽힘으로 인해 기존 컴퓨터보다 복잡한 문제를 더 빠르게 해결할 수 있음 ⑤ 비용 효율성: 개발하고 운영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초기 설계 단계부터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비용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만들어야 함
- (행사 요약) 본 행사에서 AWS는 보다 완벽한 서버리스로 가기 위해 신상품 및 기능 6가지를 선보였으며, 신상품들의 주요 경쟁력은 ① 자유로운 확장/축소 ② 처리 속도 향상, 이 2가지로 귀결됨. 올해 AWS의 미래 신기술은 '양자 컴퓨팅'이었으며, 연구센터에서 관련 기술 개발을 이어가고 있으며, 양자 컴퓨팅 칩 개발도 진행 중임
|
|
|
2. CES 2024 "All Together All On" 미리보기 |
|
|
- 역대 최대 전시 : 미국 주요 업체 및 한국 500개 이상의 기업 참가 예정
|
|
|
-
핵심 키워드 : 생성형 AI, HS4A(Human Security for All; 모두를 위한 인간 안보), 로봇, 지속가능성, 메타버스, 디지털헬스, 디스플레이, 미래 모빌리티
-
제품과 서비스에 녹아드는 생성형 AI 기술 전시
-
SIEMENS의 Dr. Roland Busch 대표 '산업 기술의 미래와 산업 메타버스로의 확장' 주제로 기조연설 예정 (미국 1월 8일 18시 30분)
-
Qualcomm의 Cristiano Amon 대표 'AI 시대에서 생성형 AI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방법' 주제로 기조연설 예정 (미국 1월 10일 14시)
|
|
|
-
빅테크 6개사(마이크로소프트, 애플, Meta, 구글, 아마존, Nvidia) 시가총액은 $11T가 넘음
-
전체 10억달러 유니콘 클럽(1200개 유니콘 스타트업)의 시가총액합 $3.8T의 3배
-
가장 큰 유니콘도 빅테크의 큰 경쟁자가 될 가능성은 낮음
|
|
|
-
역사적으로 대규모 인수는 거대 기술 기업이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하고 새로운 제품 라인을 출시하는 데 핵심이었음
-
2014년 Facebook에 인수된 WhatsApp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20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Meta의 서비스 중 하나
-
2023년 10월에 마무리된 Microsoft의 690억 달러 규모의 Activision 인수는 최근 주목할 만한 것. Microsoft의 최고 매출에 75억 달러의 수익을 가져올 것
|
|
|
-
'23년 3분기에 대형 기술 M&A 규모는 정체됨
-
비록 거대 기술 기업들이 완전히 조용해지지는 않았지만(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인수는 규제 당국과의 2년 가까운 싸움 끝에 4분기에 성사됨), 건강한 기술 생태계를 위해서는 이들이 다시 게임에 참여해야 함. 하지만 FTC의 현재 태도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임
-
당분간은 핵심 기술 역량이나 인재를 노리는 이들 기업의 소규모 거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
|
|
미국 벤처캐피털을 훨씬 능가하는 빅테크 R&D 지출 |
|
|
-
거대 기술 기업들은 특히 제너레이티브 AI 분야에서 컴퓨팅 성능과 개발 자금을 지원하며 유망한 AI 스타트업에 힘을 실어주고 있음
-
이러한 투자는 클라우드 컴퓨팅(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및 AI 칩(엔비디아)과 같은 핵심 비즈니스에 투입될 수 있음
|
|
|
-
빅 테크의 수익원은 점점 더 겹쳐지고 있음
-
예를 들어, 경쟁이 치열해지고 기업 고객이 워크로드를 최적화함에 따라 클라우드 컴퓨팅 매출 성장이 둔화중
-
대신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은 클라우드 컴퓨팅 비즈니스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컴퓨팅 집약적인 AI에 주목하는 중. Microsoft는 최근 분기에 Azure 성장의 3%를 AI가 차지했다고 밝혔음
|
|
|
아마존은 디지털 광고 영역에서 선두주자인 구글과 메타의 점유율을 계속 가져가고 있음 |
|
|
주식회사 크레버스 (뉴스레터 담당) keahn@creverse.com / 02-6009-5019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731 신영빌딩 15층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