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1
안녕하세요, 미래전략실 여러분😊 SP Team입니다.
고객심리·라이프사이클 관련 참고하실만한 2024 국내 트렌드 전망 자료를 공유드립니다. |
|
|
주요 트렌드 서적별 핵심 내용 요약 (총42p.) |
|
|
- 시간 효율적인 사회의 도래 : 시간이 희소자원이 되면서 시간 효율성('시간의 가성비')을 극도로 높이려는 트렌드
- 등장 배경 : 소유경제에서 경험경제로의 패러다임 이행, 시간을 들여 '봐줘야' 하는 콘텐츠의 증가 등
- 시사점 및 전망 : 오프라인 쇼핑몰 대형화(소비자들은 한 곳에서 여러 쇼핑을 동시에 해결하는 것을 선호), 고객의 틈새 시간을 찾아내 새로운 비즈니스 개척(시간을 쪼갠 뒤, 시간의 가치 및 가격을 다르게 책정하여 신상품 혹은 서비스를 만들거나 가격을 조정), 분초 단위의 피드백(소비자는 니즈가 발생하는 즉시 해소하는 것을 선호) 등
|
|
|
-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는 인간형 : 자신만이 보유한 인간 고유의 창의성을 더욱 고양시키는 방향으로 각종 AI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를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는 사람
-
등장 배경 : 모라벡의 역설(인간에게 쉬운 것은 컴퓨터에게 어렵고, 인간에게 어려운 것은 컴퓨터에게 쉽다), 할루시네이션(인공지능이 야기하는 그럴듯함의 오류 또는 그럴싸한 오답을 내놓는 현상) 등
-
시사점 및 전망 : 코딩이 기본 교육이 되었듯, 근미래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당연시 될 것 → '호모 프롬프트' 역량 배양
|
|
|
-
요즘 젊은이들의 목표 : 외모·학력·자산·직업·집안·성격·특기 등 모든 측면에서 약점이 없는 완벽한 사람을 선망하는 경향
-
등장 배경 : 계층 사다리가 약해지고 부의 양극화 심화,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만인이 만인과 비교되면서 서로 등급을 매기고 가치를 숫자로 증명
-
시사점 및 전망 : 육각형 인간은 우리 사회가 제시하는 이상형(과도한 비교와 줄 세우기), 보이는 것을 중시하는 SNS의 위력에 맞서려는 움직임 확산하며 최근 페이스북·X 활용자 수 감소(2024년부터 사용자 증가율도 크게 하락할 전망)
|
|
|
-
가격 차별의 초개인화 : 하나의 고정 가격이 아닌 다양한 N개 가격들을 제안해 기존에 없던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론
-
등장 배경 : 플랫폼 경제 시대에 소비자 행동데이터와 AI 기술 기반 '가격 초개인화' 시대 가속화, 전에 없던 상품으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자 하는 기업의 증가 → 가격 책정의 준거가 없어 리스크 최소화를 위해 시시각각 가격을 변경
-
시사점 및 전망 : 가격 컨트롤 타워 구축(가격이 이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최고 경영자의 관심 필요), 소비자가 납득할만한 가치 차별 필요(사회적, 개인적 공정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프라이싱 전략) 등
|
|
|
-
도파민을 추구하는 사회 : 사람들이 더 다양한 활동에서 재미를 추구하며, 재미와 한시도 떨어지길 원하지 않는 소비 행태
-
등장 배경 : 일과 재미를 대하는 우리 사회의 태도 변화, 주 사용 매체의 변화로 인한 재미의 방식 변화(순간적이고 즉각적인 '영상 언어'의 발전) 등
-
시사점 및 전망 : 상품과 서비스의 상향 평준화·무한경쟁시대에 소비자의 마음을 붙잡기 위해 필요한 속성은 '재미', 스토리텔링을 넘어 '스토리 두잉'으로 소비자가 재미 활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제안 등
|
|
|
-
구세대 아빠와 다른 밀레니얼 남편들 : 밀레니얼세대 신랑/남편/아빠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남성상과 결혼문화, 가정생활
-
등장 배경 : '젠더 대수렴'으로 선택이 된 결혼, 가정생활과 성 역할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
시사점 및 전망 : 육아 친화적인 기업문화 조성, 육아 대디를 위한 상품과 서비스 적극적 기획
|
|
|
-
자기표현의 지평을 넓혀 팬덤 확보 : 콘텐츠에 한정되던 스핀오프 개념이 브랜드, 기술, 조직관리, 개인의 경력개발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
-
등장 배경 : 유통 플랫폼이 다변화되는 가운데 브랜드와 상품 역시 콘텐츠처럼 다양한 스핀오프를 통해 강력한 세계관을 만들고 열정적인 팬덤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 증대
-
일시적 우위 전략 : "변화와 연결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상황에서는 차라리 꾸준한 실험적 시도를 통해 빠르게 답을 찾아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리타 맥그래스 교수(콜롬비아대)
-
시사점 및 전망 : 스핀오프를 위한 리브랜딩(매일유업→매일 / 마켓컬리→컬리 / 던킨도넛→던킨 / 스타벅스 커피→스타벅스) 등
|
|
|
-
확장되는 모방 소비 : 의사결정과정을 생략한 채 "나도ditto"하고 특정 사람·콘텐츠·커머스를 추종해 구매하는 현상
-
등장 배경 : 선택 과부하 사회에서 소비자의 부담, 유통시장의 권력이동이 활발해지며 오래된 마케팅 규칙이 깨짐
-
시사점 및 전망 : 제품력을 뛰어넘는 기업 혹은 브랜드만의 철학이 중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와 디토 소비자들이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는 물리적·심리적 공간 마련 등
|
|
|
-
생활·유동인구로 다시 정의되는 지역 :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적 자본으로 사람들을 불러 모으고 다양한 사람들의 시너지가 넘치는 도시의 유연한 변화
-
등장 배경 : 교통과 기술발달로 도시의 패러다임 변화, 노마드 라이프스타일이 익숙한 floating 세대의 등장 등
-
시사점 및 전망 : 자기만의 정체성과 콘텐츠가 중요, 기업들도 도시 변화에 주목하여 강소 브랜드와의 협업·팝업스토어 대신 도시 기획 프로젝트 자체에 투자 등
|
|
|
-
돌봄 기반 경제 : 단순 복지 차원에서가 아니라 새로운 패러다임의 경제적 효과
-
등장 배경 : 성장 둔화 경제에서 더 나은 삶을 살게 하는 근본, 새로운 경제성장의 동력
-
시사점 및 전망 : 돌봄의 경제적 가치를 인정하는 국제적 추세, 돌봄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는 국제적 관점 변화
|
|
|
2. 2024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KOTRA) |
|
|
- KOTRA가 엄선한 비즈니스 게임 체인저. 전 세계 84개국 현장 취재로 新 비즈니스 소개
|
|
|
-
초개인화 맞춤, 온리유 비즈니스
-
인간을 대체할 AI 경영자
-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미래형 에너지
|
|
|
-
스스로 챙기는 건강&안전, 셀프 세이프
-
자연속으로, 변화하는 여행
-
혼자 늙어가는, 실버싱글
|
|
|
- 미래 먹거리의 신기술, 애그테크
- 에코 소비
- 작은 소비
|
|
|
-
뉴 모빌리티&도시 구성원, 로봇
-
유연근무 환경과 도시 재생, 공간의 재정의
|
|
|
3. 트렌드 모니터 2024 (마크로밀 엠브레인) |
|
|
- 마크로밀 엠브레인 설문조사 데이터로 보는 2024 트렌드
|
|
|
-
어덜티즘, 어른이 없는 시대 어른을 찾다
-
평균 회귀, 어중간함의 확장
|
|
|
- 세대 레이블링, 편견을 낳다
- 한국식 능력주의, 자본 소득 필수 사회
|
|
|
- '나' 중심으로의 선택적 경험들
- 폐쇄형 인간관계, 하이볼의 사회학
|
|
|
- '빨리 감기'라는 중독
- 영트로, 이색 서사로 진화한 新복고 세계관
|
|
|
- 경제전반, 주식시장, 부동산, 문화, 테크, 인구, 사회 분야 전문가들이 돈의 흐름을 전망하고, 이를 57가지 키워드로 정리해 부의 노하우와 전략을 소개
|
|
|
주식회사 크레버스 (뉴스레터 담당) keahn@creverse.com / 02-6009-5019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731 신영빌딩 15층수신거부 Unsubscribe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