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AI 기반 지능형 학습 플랫폼, 코스웨어 등 AI 기술을 활용하는 다양한 교육 정책이 추진되고 있음
교육 정책은 정책 목표와 가치, 인적 자원, 조직 등을 비롯한 다양한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함
2. 국내 AI 기반 맞춤형 교육을 위한 정책 추진 현황
초·중등교육 분야에서 AI 기반 맞춤형 교육은 크게 ①AI에 대한 교육(인재양성용) ②AI 활용 교육(교육 도구용)으로 나뉨
AI 관련 정책은 2016년 12월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을 시작으로 2023년 4월 현재까지 총 16번의 정책이 발표되었음
AI 적용 사례로는 '매쓰홀릭', '투닝', 'AI Studios' 3가지가 있음
3. 해외 AI 기반 맞춤형 교육을 위한 정책 동향
미국 : 교육부 산하 '교육기술부'는 AI의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공정한 사용에 초점을 두고 정책 개발 및 지원 제공함. 미국 교육 현장에서 주목 받는 AI 개별화 학습 플랫폼으로는 'ALEKS'가 있음
영국 : 교육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EdTech 시범학교 운영 프로그램을 시작하였고, 교육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발표함. 영국 교육 현장에서 주목 받는 대표적 AI 기반 학습 플랫폼으로는 'Century'가 있음
4. 소결
국내 정책 : AI에 대한 교육 정책은 큰 변화 없이 추진되는 반면, AI 활용 교육에 대한 정책은 최근 들어 더욱 구체화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음. 따라서 향후 2~3년간 본격적으로 쏟아져 나올 수 있는 해당 정책의 전개 양상을 지켜볼 필요가 있음
해외 정책 : 국내 정책 흐름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영국은 선제적으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생성형 AI(ex. ChatGPT)에 관한 정책도 고민하고 있음을 확인함. 또한 영국의 경우 민간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AI에 대한 교육과 기술 투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